본문 바로가기
Kakao Coding Test/Level3

불량 사용자 C++ 2019 KAKAO Winter Internship

by HenryNoh 2020. 11. 27.

문제 설명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응모자 아이디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

불량 사용자

fr*d*
abc1**

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adi
abc123

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_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anned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_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
  •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 가리기 위한 문자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

[입출력 예]

user_id banned_id result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abc1**"]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rodo", "*rodo", "******"]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rodo", "******", "******"] 3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1

문제 설명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frodoc

입출력 예 #3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abc123
frodoc

제재 아이디

fradi
crodo
abc123
frodoc

제재 아이디

fradi
frodo
abc123
frodoc

구현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fs를 사용해야 한다.

bfs가 아닌 dfs를 사용하는 이유는 깊이 우선 탐색이기 때문에 banned_id만큼 user_id를 탐색하면서 맞는 조합을 모두 탐색해내야 하기 때문이다.

dfs를 재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 탈출조건
  2. 바꿔야할 것
  3. 반복조건

1번 탈출조건으로 banned_id로 user_id를 탐색할 때 이미 banned_id의 size만큼 탐색을 완료했으면 탈출하는 것으로 한다.

2번 바꿔야할 것은 banned_id의 조건에 user_id가 만족 시켰을 경우 해당 user_id를 탐색하지 않기 위하여 bool 배열을 만들어 주어서 false로 바꿔준다.

3번 반복조건은 아직 banned_id의 size만큼 탐색을 못했을 경우 dfs를 재귀로 반복시켜준다.


우선 다음과 같이 탈출조건을 만들어 준다.

void dfs(vector<string> u_id, vector<string> b_id, int b_ind) {
	int b_size = b_id.size();
	int u_size = u_id.size();
	if (b_ind >= b_size) {// if b_ind를 늘리면서 재귀를 해줄것인데 이게 b_id 의 사이즈와 같아지면 탈출!
		string temp = "";
		// 탈출할때 check가 걸려있는것들은 
		for (int i = 0; i < u_id.size(); i++) {
			if (check[i]) {
				//temp에 저장 후 
				temp += i;
			}
		}
		//set에 넣어주고
		_set.insert(temp);
		return;
	}
}

우선 user_id와 banned_id와 banned_id의 size를 dfs의 인자로 받아주고 b_ind(banned_id를 0부터 늘려가며 비교해줄 변수)가 b_size(banned_id의 size)를 넘어설 경우 탈출하는 것으로 해준다.

for (int i = 0; i < u_id.size(); i++) {
	if (check[i]) {
		//temp에 저장 후 
		temp += i;
	}
}
//set에 넣어주고
_set.insert(temp);
return;

위 구문은 banned_id의 조건에 맞는 user_id가 생겼을 때 check 재귀구문에서 바꿔줄 것이라서 check가 true일 때만 temp에 더해주고 다 더해준걸 temp에 저장해줄 것이다.


다음 바꿔주는 부분을 다음과 같이 구현한다.

for (int i = 0; i < u_size; i++) {
	// if 사이즈가 다르고 check[i]면(해당 id를 다른 b_id가 쓰고있으면) continue
	if (b_id[b_ind].size() != u_id[i].size() || check[i]) {
		continue;
	}
	// check = true 
	bool tmp = true;

	// 사이즈가 같으면
	// for u_id의 인덱스만큼 돌려줌
	for (int j = 0; j < u_id[i].size(); j++) {
		// if b_id의 인덱스가 *면 continue
		if (b_id[b_ind][j] == '*') {
			continue;
		}
		// if u_id의 인덱스와 b_id의 인덱스가 다르면 check = false , break;
		if (u_id[i][j] != b_id[b_ind][j]) {
			tmp = false;
			break;
		}
	}
}

아래와 같이 banned_id와 user_id의 size가 다르다면 비교할 필요가 없으므로 continue해주고
이미 해당 user_id가 앞에 나왔던 banned_id로 check 됐다면 continue 해준다.

if (b_id[b_ind].size() != u_id[i].size() || check[i]) {
	continue;
}
bool tmp = true;

만약 위의 조건에서 해당되지 않았으면 우선 해당 user_id가 check된다는 가능성을 두고 true로 생각한 후

다음과 같이 조건에 맞춰서 false로 바꿔준다.

for (int j = 0; j < u_id[i].size(); j++) {
	// if b_id의 인덱스가 *면 continue
	if (b_id[b_ind][j] == '*') {
		continue;
	}
	// if u_id의 인덱스와 b_id의 인덱스가 다르면 check = false , break;
	if (u_id[i][j] != b_id[b_ind][j]) {
		tmp = false;
		break;
	}
}

user_id의 모든 문자열을 체크하는데 각 문자열에서
banned_id의 문자열을 체크하면서 만약 banned_id에 *가 온다면(비교할 필요가 없기에) 넘어가주고
user_id와 banned_id의 알파벳이 다르다면 check되지 않기 때문에 false로 바꿔준 후 해당 반복문을 종료한다.

위 과정을 완료 했을 경우 user_id에 들어간 것중에 banned_id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tmp는 true로 남아있을 것이고 해당되지 않는다면 false로 바뀐다.

 


if (tmp) {
	// 지금것은 재귀를 해서 들어갔을때 다른 b_id가 사용하면 안되므로 check[i]를 true로
	check[i] = true;
	// dfs(b_ind+1(현재것에 다음 불량사용자),u_id,b_id)
	dfs(u_id, b_id, b_ind + 1);
	// 다하고 나오면 지금 b_id는 다음번에 사용해야 하므로 check[i]를 false로
	check[i] = false;
}

따라서 위와 같이 banned_id가 check 됐을 경우에는 재귀를 반복하며 다음 순으로 넘어가주고 check되지 않을 경우 user_id를 계속 돌아준다.


전체 코드는 아래에서 볼 수 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et>

using namespace std;

bool check[8];

set<string> _set;

void dfs(vector<string> u_id, vector<string> b_id, int b_ind) {
	int b_size = b_id.size();
	int u_size = u_id.size();
	if (b_ind >= b_size) {// if b_ind를 늘리면서 재귀를 해줄것인데 이게 b_id 의 사이즈와 같아지면 탈출!
		string temp = "";
		// 탈출할때 check가 걸려있는것들은 
		for (int i = 0; i < u_id.size(); i++) {
			if (check[i]) {
				//temp에 저장 후 
				temp += i;
			}
		}
		//set에 넣어주고
		_set.insert(temp);
		return;
		//return

	}
	for (int i = 0; i < u_size; i++) {
		// if 사이즈가 다르고 check[i]면(해당 id를 다른 b_id가 쓰고있으면) continue
		if (b_id[b_ind].size() != u_id[i].size() || check[i]) {
			continue;
		}
		// check = true 
		bool tmp = true;

		// 사이즈가 같으면
		// for u_id의 인덱스만큼 돌려줌
		for (int j = 0; j < u_id[i].size(); j++) {
			// if b_id의 인덱스가 *면 continue
			if (b_id[b_ind][j] == '*') {
				continue;
			}
			// if u_id의 인덱스와 b_id의 인덱스가 다르면 check = false , break;
			if (u_id[i][j] != b_id[b_ind][j]) {
				tmp = false;
				break;
			}
		}

		// if check = true면
		if (tmp) {
			// 지금것은 재귀를 해서 들어갔을때 다른 b_id가 사용하면 안되므로 check[i]를 true로
			check[i] = true;
			// dfs(b_ind+1(현재것에 다음 불량사용자),u_id,b_id)
			dfs(u_id, b_id, b_ind + 1);
			// 다하고 나오면 지금 b_id는 다음번에 사용해야 하므로 check[i]를 false로
			check[i] = false;
		}
	}
}

int solution(vector<string> u_id, vector<string> b_id) {
	
	dfs(u_id, b_id, 0);
	int answer = _set.size();
	return answer;
}

'Kakao Coding Test > Level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물쇠와 열쇠 C++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0) 2020.12.01

댓글